“소스”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 백과사전 (Total 11,537개)
요리에 곁들이거나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농도의 차갑거나 더운 액체 상태의 양념을 뜻한다. 소스의 기능은 요리 본연의 맛과 조화를 이루는 풍미를 더해주는 데 있다. 1953년 퀴르농스키는
때로는 부드러운 맛으로, 때로는 상큼한 맛으로 음식에 맛을 더하는 소스(sauce). 전채요리에서부터 메인요리 그리고 후식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는 소스는, 단순히 음식의 맛을 살리는 것을 넘어서
서양요리에서 맛이나 빛깔을 내기 위하여 식품에 넣거나 위에 끼얹는 액체 또는 반유동상태의 조미료 총칭.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우스터소스(Worcester sauce) 및 이를 흉내낸 것을 말한다.
오늘날 전통적인 기본 소스와 그 파생 소스들은 옛날만큼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액체를 졸여 농축된 에멀전을 만들거나 전분질을 추가함으로써 소스를 농후하게 만드는 테크닉이 점점 줄어들
「근원」, 「출처」라는 원래의 의미로부터 컴퓨터에서도 데이터의 발생원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도 메시지의 발신원을 소스(source), 수신지를 데스티네이션(d
테이프 레코드, CD 또는 악기에서 출력 등 여러 가지 음원을 소스라고 한다.
①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 탄성파 탐사에서는 다이나마이트, 바이브로사이스 또는 에어건 등, 전기 탐사에서는 전류전극, 전자탐사에서는 송신코일 등이 있다. ②반응을 일으키는 원인. ③벡터장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전극의 하나로, 캐리어를 공급하는 구실을 한다.
음식의 맛이나 향기를 내기 위하여 음식에 넣거나 위에 끼얹는 걸쭉한 액체.
커피에 단맛을 내는 액체. 시럽과는 달리 묵직하고 당도가 높다.
고팅 재료를 입히는 것으로 코팅 대상 물체에 타이타늄 코팅을 할 경우 타이타늄을 소스로 사용하고 크로뮴을 사용할 경우 크로뮴을 사용한다. 즉 이들 물체가 이온화되어 코팅 대상물체인 기판에
넓은 의미로는 액체 또는 반유동체 조미료의 총칭. 종류가 많고 서양 요리용, 식탁용의 각종 소스, 케첩, 마요네즈 등이 있다. 널리 사용되고 저장성 있는 우스타 소스는 당근, 양파 등의 야채, 과실
아메리카 원산의 가지과 꽈리속 식물이다. 토마토와 유사한 둥근 형태에 주로 녹색을 띠며, 표면이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새콤한 신맛이 특징이며, 소스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 | 외국
재료 닭육수 1.8L, 굴소스 350ml(1¾C), 중국간장 160ml(1¾C), 진간장 120ml, 청주 80ml(5⅓T), 식용유 15ml(1T), 설탕 150g, 다진 생강 3g 방법 ① 식용유를 두른 중식 팬에 생강을 넣고 살짝 볶아준다. ② 나머지 재
소프트웨어의 설계도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인터넷 등을 통해 무상으로 공개하여 누구나 그 소프트웨어를 개량하고, 이것을 재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는 그런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중국음식에 매운맛을 내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는 해산물 소스. 중국음식에 매운맛을 내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는 해산물 소스 이다. 'XO'는 'Extra old'를 뜻하며, 최상등급 코냑인 XO코냑에서 그 이름이
오픈소스, 누구나 이용 가능한 퍼블릭 도메인이다. 독점적이고 상용화한 소프트웨어에 반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자는 오픈소스 운동은 공유 경제의 대표 사례다. 이러한 철학을 제도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반인반마 켄타우로스 족의 일원이다. 강물을 건네주겠다며 헤라클레스의 아내 데이아네이라를 납치하려다 헤라클레스의 화살에 맞아 죽었다. 하지만 헤라클레스 역시 나
소스류라 함은 동 ·식물성 원료에 향신료, 장류, 당류, 식염, 식초 등을 가하여 혼합한 것이거나 또는 이를 발효·숙성시킨 것으로서 식품의 조리 전․후에 풍미증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
간장을 주재료로 한 일본식 소스. 간장소스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시대 말기 포르투갈이나 네덜란드 등의 서구국가들과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육류를 이용한 요리가 증가하였다.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