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 백과사전 (Total 15,568개)

수지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복잡한 유기산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서지기 쉽고 비결정성인 고체 또는 반고체로서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콜과 에테르에는 잘 녹음. 주로 침엽수에
탈로영양학사전 우지(牛脂)와 양지(羊脂)의 총칭. 모두 포화지방산을 약 60% 함유하며, 주요 구성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이다. 양지의 융점은 44~55℃이다. 외국어 표기 tallow(영어) 탤
유기화합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비결정성 고체 또는 반고체로, 천연수지와 합성수지(플라스틱)로 구분되는데, 후자는 석유정제시에 생성되는 것과 순수한 단량체를 중합하여 생성되는 것으
[ 1 정의] ‘첫’의 의미가 강하며 보통 곡식에서는 ‘가장 먼저 나온 것’ 또는 ‘가장 먼저 수확한 것’이고, 삼베와 같은 직물제조에서는 ‘가장 먼저 짠 것’ 등을 의미. [ 2 내용] 수지는 주로
본래의 의미는 식물이 분비하는 고형물로 흔히 '진'이라고 하는 천연물이지만, 후에 페놀과 포름알데히드 등의 반응에 의하여 수지와 비슷한 상태의 것이 합성되었는데, 이들을 합성 수지라고 부
[계획 및 설계] 수지는 송진과 같은 천연수지와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수지(플라스틱)를 통칭함. [재료 및 시공] 유기화합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비결정성 고체 또는 반고
달리 수침(水浸)이라고도 부름. 한약 법제 방법의 하나. 한약재의 독성을 없애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물에 담가 두는 것을 말한다. 이 밖에 유효 성분이 잘 우러나오지 않는 한약재들을 일정한
조선 초에 병조에서 왕지를 받들어 이문(移文)할 경우, 대체(大體)에 관계되는 것은 선지(宣旨)라 일컫고, 상행(常行)의 자질구레한 일을 이문하는 것은 수지라 일컫게 하였음.
한약 포제(炮製) 방법의 하나. 약재의 독성을 없애기 위해 일정한 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는 것. 또한 유효성분이 잘 우러나지 않는 약재들도 일정한 시간 수지(水漬)함.
① 나무에서 배어 나오는 점도가 높은 액체 또는 그것이 굳은 물질. 물에 녹지 않고 끈적끈적한 불에 타는 유기 물질로 송진, 호박 따위가 있다. 도료, 전기 절연체 따위에 쓴다. ② 전기 저항이 큰
Nelumbo nucifera(=Nelumbo nymphaea), Benincasa cerifera(=hispida)의 잘 익은 열매와 종자(種子)로, 비(脾)를 보(補)하고 설사(泄瀉)를 그치게 하고 신(腎)을 보익(補益)하고 정(精)을 굳건하게 하고 심(心)을 기르고
짐승에서 짜낸 기름. 주로 소 또는 양의 지방 조직에서 얻는 고체의 동물 지방을 이른다. 주된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과 올레산이다. 향미나 냄새가 없는 흰색 고체이다. 튀김이나 쇼트닝
처음에 신력(信力)으로 받아들여 마음에 두는 것을 수(受)라하고, 끝에가서는 염력(念力)으로 기억하여 잊지 않는 것을 지(持)라 함.
받아 가짐. 가르침을 받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 경전의 내용이나 가르침을 듣고 마음에 기억하여 잊어버리지 않는 것.
① 받아 지님. ② 마음에 새겨 두고 잊지 않음.
나무에서 분비되는 끈적끈적한 액체(예: 송진).
동과(冬瓜)의 딴 이름.
손가락을 말한다.
수평선(水平線).
수지(resin)는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유기 화합물의 혼합 물질로서 2차 대사산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수지의 정의는 끈적이는 식물의 수액 혹은 삼출액으로, 물에는 잘 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