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 백과사전 (Total 2,594개)

NAVER(주)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사이트로, 1999년 6월에 시작되었다. 일반적인 통합검색 서비스는 물론이고, 사전, 지도, 동영상, 이미지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위: 백만원) [
1999년 6월에 설립된 대한민국 대표 인터넷 회사. 인터넷 포털 '네이버(NAVER)'와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 등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 네이버는 1999년 6월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를 비롯한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체. 1999년 네이버컴(주)으로 설립하였다. 주요 사업은 검색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운영, 어린이 전용 포털 쥬니어네이버의 운영 등이다. (단위: 백만원) [연간 통계
[ 1. 디지털 영상 지도에 대해 알아보기] ① 의미 - 인공위성 사진을 지도 형식으로 바꾸고,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로 표현한 지도 ② 좋은 점 - 우리 고장의 위치
캠프모바일(Camp Mobile)이 개발 및 운영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2012년 8월에 출시되었다. 2012년 8월 8일 처음으로 출시된 네이버(주)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안드로이드(Android)와 iOS 운
간증한국전통지식포탈 풍사(風邪)가 피부에 침입하고 담(痰)이 장부(藏府)에 스며들어 살갗에 생긴 거무스름한 점이 발생하는 병증임 간증한국전통지식포탈 기미. 살갗에 생긴 거무스름한 점 관련
난퇴한국전통지식포탈 음경(陰莖)이 부어 단단해지고 배꼽 부분 까지 땅기듯이 아프며 심해지면 음낭(陰囊)이 오므라들고 부스럼이 생기는 병증임 난퇴한국전통지식포탈 수습(水濕)이 아래로 몰
식역증한국전통지식포탈 위장(胃腸)이나 담(膽)에 조열(燥熱)이 있어 음식을 많이 먹어도 곧 배고프고 몸이 여위는 증상임 식역증한국전통지식포탈 음식을 잘 먹는데도 몸이 마르는 병증.
거흑간한국전통지식포탈 검은 색깔의 사마귀 모양의 기미를 제거한다는 뜻의 용어임. 거흑간한국전통지식포탈 기미를 제거하는 효능임
거면간한국전통지식포탈 얼굴의 기미가 생긴 병증을 치료한다는 뜻임. 거면간한국전통지식포탈 얼굴의 기미를 제거하는 효능임
소아음퇴한국전통지식포탈 어린이의 고환이 붓는 병증. 풍습(風濕), 열독(熱毒)이 밑으로 몰려서 발생한다. 소아음퇴한국전통지식포탈 어린아이의 고환이 붓는 병증임
배뢰한국전통지식포탈 (1) 콩쪽처럼 생긴 두드러기. (2) 은진(隱疹) 관련처방 진교우방탕(秦艽牛蒡湯) 한방이명 풍배뢰(風㾦癗), 귀반흘탑(鬼飯疙瘩), 비맥은진(肥脈癮疹) 배뢰한국전통지식포탈 콩
암려자한국고전용어사전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개제비쑥의 종자. 외국어 표기 菴䕡子(한자) 용례 암려자. 향명은 진주봉이다. ; 菴䕡子 鄕名眞珠蓬 [향약채취월령 10월채] 암려자
비닉창한국전통지식포탈 콧구멍 둘레가 온통 짓무르는 부스럼[습양(濕瘍)] 관련처방 청합산(靑蛤散), 택사산D(澤瀉散) 비닉창한국전통지식포탈 풍열사(風熱邪)가 폐경(肺經)에 침입하여 콧구멍주
소아감닉한국전통지식포탈 소아가 단것을 즐겨 먹어 장충(腸蟲)이 부(府)를 갉아먹어 발생한 질환 관련약재 계장초(鷄腸草) 한방이명 감닉(疳䘌) 소아감닉한국전통지식포탈 소아의 폐감(肺疳) 증
식역한국전통지식포탈 위장(胃腸)이나 담(膽)에 조열(燥熱)이 있어 음식을 많이 먹어도 곧 배고프고 몸이 여위는 병증임 식역한국전통지식포탈 음식은 많이 먹으면서도 배고파하고, 몸은 도리어
퇴병한국전통지식포탈 여자의 음호(陰戶)가 돌출된 것 한방이명 퇴(㿉) 퇴병한국전통지식포탈 양쪽 고환이 부어서 커진 병증임
발직한국전통지식포탈 머리카락이 뻣뻣하고 땀이 계속 흘러 그치지 않는 것 관련처방 가미출부탕B(加味朮附湯) 발직한국전통지식포탈 머리털이 기름기가 많아서 점체되어 풀어지지 않는 것을 말
과국보화환한국전통지식포탈 울증(鬱證)을 풀어주고 기(氣)를 돌게 하며, 적(積)을 삭이고 열을 내려주는 처방임 과국보화환한국전통지식포탈 개울(開鬱), 행기(行氣) 소적(消積), 산열(散熱)하는
심복교통한국전통지식포탈 흉복부(胸腹部)의 통증이 아주 심한 상태. 관련처방 칠기탕F(七氣湯), 대이한원D(大已寒圓), 홍원자E(紅圓子), 자침전원(紫沈煎圓), 산취탕C(散聚湯), 부자이중원B(附子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