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 백과사전 (Total 129개)

1. 풋볼 리시버가 다운필드로 달리고 스크리미지 라인 앞에서 공을 잡기 위한 패스 패턴. 컬은 팀이 앞서가고 있을 때 인터셉트를 막기 위해 하는 것이다. 컬 인(curl in)이라고도 한다. 2. 서핑 파도가
두발미용에서 쓰이는 고리와 같이 말려 있는 상태의 머리. 고대 이집트 시대에 오렌지 나무에 두발을 감아서 만든 거미집 같은 형태의 스파이럴 컬이 최초이며, 고대 로마인의 컬링 아이론의 발명
헤어 스타일을 곱슬곱슬하게 만드는 일 또는 그 머리카락을 말한다.
종이나 필름이 앞뒤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하여 만곡 현상을 일으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작업성이 나빠지는 상태를 말한다. 종이의 컬은 온도 및 습도에 의한 영향이 커서 흡습
리버스 컬체육학대사전 바벨 또는 덤벨을 양 팔을 뻗은 채로 오버그립으로 쥐고, 몸 앞에 늘어뜨린다. 이 위치로부터 몸 옆에 양 팔꿈치를 고정시킨 채로 전완부(前腕部)만을 위로 이동시켜서 바벨
잎말이생명과학대사전 잎이 말려 들어가는 식물의 바이러스성 병증의 하나. 고구마, 담배, 포도의 여송병이 특이적 병증의 하나이다. 바이러스에 이환되어 체관이 괴사하고 엽육에 녹말이 집적되
식육목 고양이과의 포유류. 비교적 최근에 알려진 품종으로 미국 캘리포니아가 원산으로 독특하게 뒤로 넘어가 있는 귀가 특징이다. 1981년 캘리포니아에서 루가(Ruga)가족에게 발견된 두 마리의 고
[피해 특징] 주로 봄에 잎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피해가 나타나며, 5월 하순 이후에는 피해가 크게 확산되지 않고 7월 이후에는 병든 잎이 거의 모두 떨어지기 때문에 피해가 확인되지 않는다. 주로
[운동 개요] 상완이두근의 근력을 강화하고 크기를 키워주는 대표적인 팔 운동이다. 선 자세로 실시하기 때문에 동작 범위 전체에 걸쳐 상완이두근을 강하게 자극할 수 있다. 탄력 있는 팔 라인을
[운동 개요] 케이블의 저항이 운동 시작 지점과 끝 지점까지 지속적으로 전해져 상완이두근의 근긴장을 유지하게 함으로서 더욱 큰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더불어 다른 상완이두근 운동에 비해
[운동 개요] 대표적인 상완이두근 운동으로 선 자세에서 스트레이트 바 또는 이지바(ez-bar)를 이용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상완이두근의 근육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운동 순서] 두 손
[운동 개요] 바벨 컬에 비해 상완이두근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운동이다. 선 자세와 앉은 자세(벤치, 짐볼)에서 운동이 가능하며, 그립을 잡는 방향에 따라 발현되는 근육이 달라지며, 양팔을 동
[ ① 검사 목적] 상체 근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 ② 방법] 여성은 2kg, 남성은 3kg 덤벨(아령)을 한 손에 잡고 30초 동안 완전히 팔꿈치를 폈다 구부리기를 몇 번 했는지 검사한다. [ ③ 유의사항
[운동 개요] 덤벨 컬과 덤벨 숄더 프레스 운동을 결합한 형태의 운동으로 상완과 어깨근육이 동원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운동이다. [운동 순서] 어깨너비로 서서 덤벨을 양손으로 잡고 손바닥이 앞
[운동 개요] 대퇴후면의 슬굴곡근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이다. 스탠딩 레그 컬보다 많은 중량을 들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하체 근력이 약한 사람에게 필수적인 운동이다. 단순관절 운동인 만큼
[운동 개요] 직선 형태의 바(bar)에 비해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다. 따라서 무거운 중량을 들 때에도 무리 없이 조금 더 집중할 수 있으며, 상완이두근의 크기와 근력 증진에 효과적이다. [운동
[개요] 유니컬은 컬링과 매우 흡사한 스포츠로 컬링의 돌로 만든 '스톤' 대신에 특수 합금 수지로 만든 스톤을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유니컬은 그 룰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경기를 하면 할수록 깊은
[운동 개요] 허벅지 뒤쪽 슬굴곡근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이다. 한 번에 한쪽 하체만 훈련이 가능하여 양쪽 다리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허벅지를 패드에 대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
[운동 개요] 전완의 안쪽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이다. 벤치 가장자리나 무릎 위에 전완부를 고정시키고 손목의 움직임만으로 운동한다. [운동 순서] 무릎을 꿇고 벤치 앞에 앉는다. 바벨을 어깨너
복숭아나무에 발생하는 병해. 이른봄 잎이 필 때에만 발생하며 기온이 20°C 이상 되면 발병하지 않는다. 주로 잎에만 침해하나 새가지에도 발병되고 심하면 일찍 잎이 떨어지며 수세(樹勢)가 약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