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키코드”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 백과사전 (Total 81개)

1963년 미국표준협회(ANSI)에 의해 결정되어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등에 부여한 7비트(Bit) 부호체계. 1963년 미국표준협회(ANSI)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소형 컴퓨터
미국 정보교환 표준 코드이다. 미국표준협회(ANSI)가 ISO(국제표준화기구) 위원회에 제안, 이 체계에 준거해 ISO의 국제 부호체계가 제정되어 있다. | 외국어 표기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
미국표준협회가 데이터 처리 및 통신시스템 상호간의 정보교환용 표준 부호로 제정한 것으로 아스키 부호라고도 한다. 데이터 처리와 정보시스템 상호간의 정보교환용으로 정한 표준코드로서, 영
1962년 안시(ANSI)가 정의한 미국 표준 정보 교환 코드. 이 코드는 7비트의 이진수 조합으로 만들어져 총 128개의 부호를 표현한다. 아스키코드의 처음 32개(0-31)는 프린터나 전송 제어용으로 사용되고
미국에서 표준화가 추진된 7비트 부호. 1963년 당시의 ASA(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미국 표준 협회)에 의해 제정되어 미국의 표준 부호가 되었다. 미니컴퓨터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소형 컴퓨터를 중
미국에서 정한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 상호 간의 정보 교환용 7비트(bit) 표준 코드는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미국 정보 교환용 표준 코드)’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약칭이다.
각 영문자, 숫자, 구두점들에 대해 7비트 2진수를 할당하는 ASCII 코드로서, 복귀, 개행(line feed) 탭과 같은 특수한 기계 기능들에도 코드가 할당될 수 있다.
초창기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를 표현했는데, 호환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NSI에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라는 표준 코드 체계를 제시했고,
문자나 기호들의 집합을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통신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부호로 바꾸는 것으로, ‘부호화’라고도 한다. 이 인코딩된 문자 부호(character code)는 다시 디코딩(복호화)하여 본래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artificial change의 약어. 아스키 코드라고도 한다. 7 비트 구성으로 영자, 숫자, 각종 기호 합계 128종을 표현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영문자, 숫자, 기호, 한글 등의 문자 역시 컴퓨터의 이진코드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컴퓨터의 이진코드는 어떤 방법으로 수를 표현할까요? 아마 앞서 수의 표현에 대한 내용을
문자나 숫자 등과 같은 정보를 그에 상응하는 다른 방법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해 놓은 규칙.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정보로 표현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약속해 놓은 규칙을 의미하
① 한 방식으로 표현된 자료를 다른 표현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규칙의 집합. 예를 들면, 아스키 코드 문자를 컴퓨터 내부에서 2진수로 표현하는 규칙이고, 2진화 10진수(BCD) 코드는 10진수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의 약어. 미국 표준 협회(ANSI)가 1962년에 제정한 정보 교환용 표준 코드를 말한다. 7비트(패리티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구성의 코드이며 27 = 128 종류의 제어
컴퓨터에서 0과 1로만 표현되는 코드. 이진 코드의 binary는 ‘이진법의, 이진수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0과 1만을 이용해서 인식하는데 이렇게 0과 1을 이용해서 표현
컴퓨터에서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제적인 문자 코드 규약.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2바이트계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부호 체계(UCS: Universal Code System)를 말한
컴퓨터에서 0과 1로만 표현되는 코드. 컴퓨터는 0과 1만을 인식한다. 이처럼 0과 1로만 표현하는 것을 이진코드(바이너리코드)라고 하며, 컴퓨터 내부적으로 이용하는 코드이다. 예를 들면, FTP(File Tra
애플리케이션 다국어 도메인 이름(IDNA: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 in Application)의 기반하에 다국어 도메인이 아스키(ASCII)로 변환(encoding)된 구문. 국제 인터넷 표준 RFC 3492에 정의되어 있다. 다국어 문자
사람이 사용하는 문자에 대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이진 부호 형태로 할당한 고유의 부호. 영어의 알파벳이나 한글 등과 같은 문자를 컴퓨터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
한글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음소나 음절 등의 단위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부호. 1960년대 후반 국내에 컴퓨터가 보급될 당시에는 영어권에서 사용하던 아스키코드(ASCII, American Standard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