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사”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 책 (Total 4개)

이 책은 어느 젊은 일본 여성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이다. 다카하시 마쓰리는 대학을 졸업한 후 유명 광고 회사에 들어가서 얼마 지나지 않아 청춘을 스스로 마감하게 된다. 신참 사원으로 과도한 연장 근무, 업무와 상관없는 일의 지시, 여성 직원에 대한 차별과 편견, 위계적인 회사 분위기 등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한다. 마쓰리의 이야기는 언론에 보도되면서 일본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다. 일본은 전형적인 과로 사회이고 이 사건은 그 단면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 책의 저자인 다카하시 유키미(마쓰리의 엄마)와 가와히토 히로시(담당 변호사)는 회사를 상대로 싸움을 진행한다. 결국에는 산재 인정을 받고 회사의 사과와 재발 방지에 대한 다짐들을 받아 낸다. 그러나 마쓰리는 돌아오지 못한다. 저자들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마쓰리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책으로도 펴냈다. 이 책에는 마쓰리가 죽음에 내몰리는 과정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다. 그리고 이를 밝히기 위한 변호사와 엄마의 지난한 과정들이 담겨 있다. 이 책에는 마쓰리 외에도 동경올림픽을 위해 신국립경기장 공사 현장에서 일하던 청년 야마카와의 과로 자살 사례와 편의점 물품 배송을 위해 운전을 하던 42세 오사다의 과로사 그리고 의사, 교사, 기자 등 전문직의 과로자살 사례까지 소개된다. 일본 못지않은 한국 사회의 과로사 실태를 소개하기 위해 과로사예방센터 임상혁 이사장의 보론 을 뒤에 추가하였다.
김사연의 『백수가 과로한다』는 〈젊어지는 약 토코페롤(비타민 E)〉, 〈세상의 부모들아〉, 〈세상이 야박해지는 이유〉, 〈묻지마관광〉 등 주옥같은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
제10회 브런치북 특별상 수상작 이 책은 제10회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에서 특별상을 수상한 원작 〈6번의 퇴사와 7번의 입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청년이 사회인으로 독립하기 위해 이렇게까지 고군분투할 일인가? 사회 초년생에게 열정 페이를 산뜻하게 방어·탈출할 영감을 주는 책. 만 나이 통일법 시행으로 아직은 20대 총 근무 기간 3년, 6번 퇴사, 7번 입사 일곱 개의 회사명이 주르륵 나열된 저자의 경력란을 보고 누군가는 ‘요즘 애들스럽다’, ‘참 인내심 없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요즘 애들이니 전자의 말을 하는 건 상식적인 반응이지만, 후자의 평가는 꼰대의 물정 모르는 발언이 되기 십상이다. 누군들 한 회사에 진득하게 백년해로하듯 장기근속하고 싶지 않겠나. 하지만 현대는 살면서 n번의 직업을 갖게 되는 각자도생의 세상이다. 그 n번이 원하는 직업에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미화하는 이도 있겠지만, 사회생활을 조금이라도 해 본 사람이라면 ‘고용불안정’을 상징한다는 말임을 안다. 이 책에는 20대 내내 정규직 전환 실패로 인한 잦은 퇴사, 철야 작업(이라고 쓰고 열정 페이라고 읽는다)을 견디지 못하고 택한 퇴사 등 다양한 유형과 사정으로 방황한 어느 직장인이 일곱 번째 회사에 정착한 지금에 이르기까지, 조금은 우습고, 조금은 짠하고, 때때로 곁에서 대신 욕해 주고 싶은 직장 빌런들의 이야기도 담아 한결 편안해진 마음으로 풀어 놓았다. 이 책을 통해 업무 외의 일, 또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업무 과잉으로 인해 퇴사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회 초년생이 징검다리 건너듯 열정 페이를 산뜻하게 방어·탈출할 영감을 떠올릴 수 있기를 바란다.
과로사와 과로자살로 가족을 잃은 이들이 죽음을 받아들이고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직접 썼다. 과로로 인한 죽음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이를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이 남은 이들의 치유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 서술한다. 유족 당사자가 쓴 ‘과로’에 관한 논의로서 사건에 맞닥뜨린 이들을 위로하는 한편, 사건 직후부터 산업재해 신청까지 필요한 사항과 절차를 자세히 소개했다. 남겨진 사람들의 황망한 심경과 과로죽음을 인정받기 위한 고군분투의 경험을 사실적으로 증언했고 절차마다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안내했으며 과로죽음을 근절하기 위한 제안도 담겼다. 가족, 동료, 친구를 잃은 이들이 황망한 세상을 견디고 난 후 다른 이들을 위해 목소리를 보태고 이 책을 쓴 이유는 과로사와 과로자살이 개인의 나약함이나 가족의 무관심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죽음이며 재발을 막기 위해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기 위해서다. 이는 곧 회복과 정의로 나아가는 길이기도 하다. 세계 최장 시간 노동하는 한국사회에서 과로를 멈춰야 한다는 유가족의 목소리는 과로 권하는 사회에서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찾는 유의미한 시도가 될 것이다.